본문 바로가기
보험금

대퇴골골절로 인한 사망시 상해사망보험금 청구는?

by 부부 손해사정사 2024. 12. 19.

대퇴골골절 사망보험금
대퇴골골절 사망보험금

 

 

이번시간에는 대퇴골골절로 인하여 수술을 받은 후 사망하였을 때 상해사망보험금 청구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퇴골은 무릎에서 시작해서 고관절로 이어지는 뼈로서 우리 몸에서 가장 큰 뼈입니다. 대퇴골이 부러지는 위치에 따라 경부골절, 간부골절, 원위부골절 등으로 불립니다.

 

경부골절은 고관절에 위치하고 있는 대퇴골의 머리가 골절되는 경우를 말하고, 원위부골절은 무릎의 가까운 곳에 부러진 경우를 말하며, 간부골절은 무릎과 고관절 부위 중간에 발생한 골절을 말합니다.

 

대퇴골골절은 뼈가 크기 때문에 아주 강한 충격에 의해서 부러지게 됩니다. 다만, 연령이 높은 사람의 경우 골다공증이 심하면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부러지기 때문에 젊은 사람보다 연령이 높은 사람들에게 더 많이 골절이 발생하게 됩니다. 

 

대퇴골 골절이 되면 미세한 경우 깁스를 해서 보존적 치료를 하게 되나, 심한 경우에는 핀을 삽입하는 수술을 받게 됩니다. 또한 대퇴골 경부골절의 경우에는 인공관절치환술을 하기도 하며, 사고 당시에는 핀을 삽입하는 수술을 한 후 시간이 흘러 해당 고관절이 괴사 되어 결국 인공관절치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대퇴골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사지 부위에서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보다 위험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부위 골절은 골절 그 자체로 사망하지는 않으나, 대퇴골 골절의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상해사망보험금의 요건 

 

보험회사로부터 상해사망보험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피보험자의 사망이 상해의 직접결과로 인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상해사망보험금은 질병사망보험금에 비하여 대부분 더 많은 보험금을 받을 수 있도록 가입되어 있으므로, 보험회사와 많은 분쟁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보험금도 클뿐더러 상당수는 상해사망만 가입되어 있을 뿐, 질병사망에는 가입하지 않고, 또한, 상해의 요건도 모두 충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상해의 요건은 급격성, 우연성, 외래성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급격성이란 시간적으로 누적된 사고가 아님을 의미하고, 우연성이란 피보험자가 예측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하며, 외래성이란 피보험자의 신체 외부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퇴골골절은 넘어지거나 혹은 어딘가에 부딪히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사고는 순간적으로 일어나게 되므로 급격성을 충족하고, 피보험자의 고의가 아닌 이상 우연성도 충족하며, 피보험자 신체외부의 원인으로 골절이 발생했으므로 외래성도 충족됩니다.

 

즉, 대퇴골골절  그 자체는 상해에 해당한다는 것에 분쟁은 없습니다.

 

인과관계에 대한 입증책임 

 

하지만, 대퇴골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생명을 잃을 가능성은 있으나 치명적인 부분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머리에 충격이 심하게 발생하였거나 혹은 어떠한 뼈가 골절되어 장기를 찌르는 경우는 그 자체로 생명에 굉장히 위협적일 수 있는데, 대퇴골골절은 그런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대퇴골골절이 발생 후 사망하였을 때 보험회사와 상해사망보험금에 대한 분쟁이 발생합니다. 왜냐하면 상해사망보험금을 받으려면 피보험자가 상해의 직접결과 즉, 상해라는 요인이 사망에 아주 중요하게 기여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인과관계라고 합니다.

 

이러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하여 보험금 청구권자가 입증해야 합니다. 결국 대퇴골골절로 인한 상해사망보험금 청구를 위해서는 이러한 인과관계가 존재하였다는 사실을 입증하느냐 못하느냐에 대한 다툼입니다.

 

만일, 피보험자가 대퇴골골절 후 수술받고 바로 사망하였다면 입증이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피보험자가 수술 후 수개월 혹은 수년 동안 정상인처럼 생존 후 사망하였다면 이는 당연히 상해의 직접결과로 인해 사망하였다고 보기 어려울 것입니다.

 

하지만, 대퇴골골절 후 신경이 급격히 쇠약해져 요양병원 등에서 장기간 입원 중 사망하였는데, 사망진단서상 대퇴골골절이 없다면? 이 경우가 굉장히 애매합니다.

 

따라서, 대퇴골골절로 인한 상해사망보험금 청구를 생각한다면 제일 중요한 것이 골절의 발생시기와 사망의 시기입니다.

 

짧을수록 상해사망보험금 지급이 유리하며, 길수록 불리해지게 됩니다. 

 

이상 부부손해사정사와 대퇴골골절 후 사망 시 상해사망보험금에 관하여 살펴봤고, 이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면 아래의 연락처로 문의하시면 되고, 상해사망과 관련한 동영상을 제 유튜브 채널에서 다루었으니 아래 영상 주소를 눌러 시청하시면 됩니다. 

 


카카오톡 상담 클릭 :
 http://pf.kakao.com/_xfdVmK

전화 걸기 : 010-3063-1911

 

https://www.youtube.com/watch?v=uhr8tnQCkj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