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인미상 사망보험금4

시체검안서 원인미상 기재되면 어떤 사망보험금 청구? 실제 사례 부부손해사정사입니다. 이번시간에는 피보험자가 사망 후 발급된 시체검안서상 사망원인이 미상으로 기재된 경우 사망보험금 청구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체검안서는 사람이 사망하였을 때 병원 의사가 발급하는 서류입니다. 이와 유사한 서류는 사망진단서입니다. 둘 다 사람이 사망했을 때 의사가 발급해 주는 서류인데, 시체검안서는 병원에 도착하기 전 이미 사람이 사망하였을 때 발급되는 서류이고, 사망진단서는 병원에서 의사가 사망하는 것을 지켜봤을 때 발급되는 서류입니다.  이에 시체검안서는 사망진단서의 내용에 비하여 사망원인을 명확히 확인하는 것이 어렵고, 그래서 시체검안서상 사망원인이 미상이라고 기재된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피보험자의 응급기록일지를 보면 피보험자가 사망 최근에 식사를 안하고, .. 2025. 2. 17.
원인미상으로 사망하였을 경우 사망보험금 청구는 무엇으로? 부부손해사정사입니다. 이번시간에는 피보험자가 보험가입 후 사망하면 사망보험금 청구를 할 수 있는데, 사망원인이 미상인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망보험금은 피보험자가 사망하였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보험회사에게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사망보험금은 피보험자의 사망원인에 따라 구분됩니다. 생명보험에서는 일반사망과 재해사망으로 구분하고 있고, 손해보험에서는 상해사망과 질병사망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중 생명보험의 재해사망과 손해보험의 상해사망은 보험소비자가 보험회사에 납부하는 보험료 액수에 비하여 받을 수 있는 보험금이 큽니다. 보험은 보험회사가 보험금을 지급할 확률을 계산하여 지급 가능성이 높다면 보험료도 당연히 높아지게 되고, 지급 가능성이 낮다면 당연히 보험료도 적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2024. 10. 2.
원인미상으로 사망한 경우 상해사망보험금 청구는? 부부손해사정사입니다. 이번시간에는 피보험자가 사망하였는데 사망진단서 및 시체검안서에 사망의 원인을 알 수 없어 원인미상으로 기재된 경우에 대한 상해사망보험금 지급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사망보험금에 대하여 손해보험회사에서는 질병사망과 상해사망으로 구분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생명보험회사에서는 재해사망과 일반사망으로 구분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상해와 재해사망은 질병과 일반사망에 비하여 지급받을 수 있는 보험금이 더 큰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험회사와 분쟁이 많이 발생합니다.  손해보험의 상해사망보험금은 무엇? 상해사망이란 질병사망과 대척점에 있습니다. 질병사망은 피보험자가 질병으로 인하여 사망하였을 경우 지급되는 담보입니다. 이에 반하여 상해사망이란 피보험자의 사망이.. 2024. 7. 29.
사망원인이 미상이라면 사망보험금 청구는 어떻게 될까요? 부부손해사정사입니다. 사망보험금은 피보험자의 사망원인에 따라 보험금 지급의 종류 및 액수가 달라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결국 사망원인을 알 수 없다고 하면  사망보험금에 관한 분쟁이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보통 사망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라면 피보험자가 사망 당시 발견되지 않고, 사망 후 한참의 시간이 흐른뒤에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 이처럼 피보험자가 사망 후 발견되었다면 시체검안서라는 서류가 발급됩니다. 이는 의사가 사람의 죽은 상태를 확인하여 진단을 내리는 것인데, 당연히 죽은 상태만을 확인하기 때문에 정확히 사망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사망보험금은 손해보험에서 질병사망과 상해사망으로 구분되고, 생명보험에서는 일반사망과 재해사망으로 구분됩니다.  상해와 재해사망은 피.. 2024. 6. 12.